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@tailwind components
- iron-session
- js
- 클로저
- client components
- @tailwind utility
- SSR
- 자바스크립트
- supabase realtime
- unstable_nostore
- createbrowserrouter
- render phase
- CSS
- revalidatepath
- server components
- @tailwind base
- 프로그래머스
- interceptor routes
- dynamic pages
- image component
- sever components
- static pages
- 리액트
- RECOIL
- @tailwind
- commit phase
- 3진법 뒤집기
- 타입스크립트
- sever action
- revalidatetag
- Today
- Total
개발하는 너구리
TIL-23.03.21 본문
Javascript
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, 브라우저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
Java와 Javascript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?
- 아무 관련 없다
<head> ~ </head> 안에 <script> ~ </script> 로 공간을 만들어 작성
JQuery
Javascript와 다른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미리 작성된 js 코드.
전문 개발자들이 짜둔 코드를 잘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! (그렇게 때문에, 쓰기 전에 "임포트"를 해야함!)
<script src="https://ajax.googleapis.com/ajax/libs/jquery/3.5.1/jquery.min.js"></script>
JS로 길고 복잡하게 써야 하는 것을
document.getElementById("element").style.display = "none";
JQuery로
$('#element').hide();
서버-클라이언트 통신 이해하기
😊 클라이언트→서버: GET 요청 이해하기
API는 은행 창구와 같은 것
같은 예금 창구에서도 개인 고객이냐 기업 고객이냐에 따라 가져와야 하는 것 / 처리해주는 것이 다른 것처럼,
클라이언트가 요청 할 때에도, "타입"이라는 것이 존재.
* GET → 통상적으로! 데이터 조회(Read)를 요청할 때
* POST → 통상적으로! 데이터 생성(Create), 변경(Update), 삭제(Delete) 요청 할 때
😊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
예시) google.com/search?q=아이폰&sourceid=chrome&ie=UTF-8
? : 여기서부터 전달할 데이터가 작성된다는 의미
& : 전달할 데이터가 더 있다는 뜻
😊 Fetch
fetch("여기에 URL을 입력") // 이 URL로 웹 통신을 요청한다. 괄호 안에 다른 것이 없다면 GET!
.then(res => res.json()) // 통신 요청을 받은 데이터는 res라는 이름으로 JSON화 한다
.then(data => {
console.log(data) // 개발자 도구에 찍어보기
}) // JSON 형태로 바뀐 데이터를 data라는 이름으로 붙여 사용한다
- fetch("여기에 URL을 입력") ← 이 URL로 웹 통신 요청을 보낸다
- ← 이 괄호 안에 URL밖에 들어있지 않다면 기본상태인 GET!
- .then() ← 통신 요청을 받은 다음 행동!
- res ⇒ res.json()
- ← 통신 요청을 받은 데이터는 res 라는 변수를 사용(변경 가능)
- ← res는 JSON 형태로 변경 후 조작!
- .then(data ⇒ {}) ←JSON 형태로 바뀐 데이터를 data 라는 이름(변경가능)
JS와의 차이점
- 변수 선언 시 const / let과 같은 별다른 키워드 불필요
- 함수 정의 시 def 키워드 사용
def sum(a,b,c):
return a+b+c
가상환경 venv
같은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다른 파이썬 응용 프로그램들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,
파이썬 배포 패키지들을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격리된 실행 환경
[코드스니펫] requests 써보기
import requests # requests 라이브러리 설치 필요
r = requests.get('url주소')
rjson = r.json()
웹스크래핑(크롤링)
import requests
from bs4 import BeautifulSoup
# 타겟 URL을 읽어서 HTML를 받아오고,
headers = {'User-Agent' : 'Mozilla/5.0 (Windows NT 10.0; Win64; x64)AppleWebKit/537.36 (KHTML, like Gecko) Chrome/73.0.3683.86 Safari/537.36'}
data = requests.get('URL주소',headers=headers)
# HTML을 BeautifulSoup이라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검색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듦
# soup이라는 변수에 "파싱 용이해진 html"이 담긴 상태가 됨
# 이제 코딩을 통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면 된다.
soup = BeautifulSoup(data.text, 'html.parser')
DB 개괄
😊 DB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[ RDBMS(SQL) / No-SQL ]
RDBMS(SQL)
행/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합니다.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,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. 그러나, 정형화되어 있는 만큼, 데이터의 일관성이나 / 분석에 용이할 수 있습니다.
ex) MS-SQL
No-SQL
딕셔너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DB입니다. 고로 데이터 하나 하나 마다 같은 값들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됩니다. 자유로운 형태의 데이터 적재에 유리한 대신,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
ex) MongoDB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-23.03.23 (0) | 2023.03.23 |
---|---|
TIL-23.03.22 (0) | 2023.03.22 |
TIL-23.03.20 (0) | 2023.03.21 |
리액트 버튼 클릭 시 색상 변경 (0) | 2022.11.19 |
TIL-22.10.30 (0) | 2022.10.31 |